[NEW] 한국사 요약노트-2

by

in

고려의 통일

10C 중국에서는 당이 멸망하고 거란(요)가 성장했다. 거란에 의해 발해는 멸망했고, 통일 신라도 정치적 불안정과 농민 봉기, 호족의 등장으로 어지러웠다. 혼란의 신라 하대, 견훤의 후백제(전주)와 궁예의 후고구려(철원)가 등장하면서 후삼국이 경쟁하였다. 후고구려에서는 궁예가 자신이 미륵불이라 주장하며 전제왕권을 추구했고, 정변이 일어나며 왕건*이 새로운 왕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왕건의 고려(송악)는 경순왕의 항복을 받아내며 신라를 흡수했고, 고창(안동) 전투에서 후백제를 격퇴하며 주도권을 잡았다.

*왕건은 해상 무역~ 호족 출신, 궁예 아래에서 후백제 나주 점령, 국호 고려, 수도 송악 천도

고려 정치-1
태조 왕건1) 경순왕 항복, 신라 흡수
2) 공산 전투(대구) 패배,
견훤 상대로 고창 전투 승리
후백제 내분, 전쟁 승리
-> 918 고려가 후삼국 통일

국가 체계 정비:
1) 민생 안정:
– 취민유도: 감세
– 흑창 설치: 빈민 구제

2) 호족 통합 정책:
– 당근: 역분전(공에 따른 토지)
결혼 동맹, 사성제도(왕 성씨 하사)

– 채찍=기인 제도(호족 자제를 인질)
사심관(고위 귀족을 출신지 사심관으로 임명,
반란 시 연대 책임)

3) 북진정책: 고구려 계승, 서경 중시
거란 적대시, 청천~영흥만 영토 확장

4) 불교
훈요 10조에서 연등회, 팔관회 강조

5) 사후 도모:
훈요 10조: 후손들에게
정계 1권, 계백료서 8권: 신하의 도리

왕위쟁탈전왕규의 난
광종왕권 강화, 호족 견제
칭제건원(광덕, 준풍의 연호)

1) 노비안검법:
호족 소유 양민 출신 노비를 양민으로!
-> 사병 감소를 통한 왕권 강화,
세금 증가로 재정 개선

2) 과거제, 관리 공복 제정:
유교~신진 세력
경종1) 시정전시과(토지와 임야)
관리 등급에 따라 분배
성종왕권 안정, 유교 정치:
1) 최승로의 시무 28조:
유교 정치 이념 기반 통치체제
– 중앙: 2성 6부
– 지방: 12목, 지방관 파견(최초)
– 연등회 줄이고, 팔관회 폐지
– 유학 교육: 국자감 설치,
지방에 경학박사 파견
-> 문벌 귀족의 토대가 됨

행정 조직

고려의 행정 조직은 당과 송나라의 영향을 받았다.

중앙: 2성 6부결합
당 영향1) 중서문하성: 국정 총괄
재신(2품이상, 정책심의)
+ 낭사(3품 이하, 언론)

2) 상서성-6부(정책 실행 기구):
이(인사)-병-호(조세)-형-예-공
1)재신 + 3)추길 = 재추회의
(문관중심 회의)

재추회의 + 중방(무신회의)=
임시기구 도병마사(병마사 지도)

-> 상설기구 도평의사사(도당),
임시기구 식목도감(의식)
송 영향3) 중추원:
군사 기밀, 왕명 출납

추길(2품 이상, 군국기무)
승선(3품 이하, 비서)

4) 어사대: 감찰

5) 삼사*: 화폐, 곡식 출납 회계
*조선과 달리 언론 기능 없음
1)낭사+4)어사대= 대간(대성제도):
왕권 견제하는 언론 기능

(왕 잘못) 간쟁,
(잘못된 왕명 반려) 봉박,
(관리 임명, 법령 개정 동의) 서경
지방: 12목 -> 5도(행정) 양계(군사)
양계북계, 동계: 병마사 파견
국방 요충지: 진 설치
5도5도: 안찰사 파견 (전국을 돌아다님)
도 아래 주-부-군-주현: 지방관(수령) 파견

4도호부-8목-주-군-현: 수령 파견
지방 토착 세력
(파견 X)
속군, 속현, 특별 자치구역 향-부곡-소:
지방 호족 -> 향리(실질적 지배 세력)
군사 체계
수도군중앙군 2군 6위:
2군= 국왕 친위 부대
6위= 수도, 국경 방어
군적에 등록된 직업 군인:
군인전 지급, 군역 세습
지방군5도의 주현군:
군적X, 예비군 개념
(16~60세 양인)
양계 지역 주진군:
군적 X, 상비군
(16~60세 양인)
과거제
문과문관 선발 (주로 귀족, 향리 자제)
~ 음서 제도
1) 제술과= 문학 재능, 정책 시험
2) 명경과= 유교 경전 이해 시험
잡과기술관 선발
승과승계 선발
1) 교종선
2) 선종선
무과거의 실시 X

고려의 정치

고려는 무신정변을 기준으로 전기(초기, 중기)와 후기(몽골 -> 원 간섭기)로 나뉜다.

고려 정치-2
초기
10C
중앙 집권 체제 정비:
호족 + 신라 6두품 출신 유학자들

도전자 -> 권력자 (권력 다지기):
호족-선종(수양)-고구려
-> 문벌귀족-교종(법전)-신라

문벌 귀족:
경주 김씨(김부식), 파평 윤씨(윤관),
경원 이씨(이자겸), 해주 최씨(최충)

1) 음서 제도:
5품 이상 자제는 조상의 음덕으로 과거 없이 관직 가능

2) 경제:
– 과전: 관직에 대한 대가로 지급
– 공음전: 5품 이상에게 지급된 토지, 세습 가능

3) 사회:
폐쇄적 결혼~ 왕실과 혼인, 근친혼

=> 문벌 귀족의 권력, 토지 독점에
사회 모순이 커짐
12C1126 이자겸의 난
왕들의 장인 이자겸 + 척준경 vs.
왕 + 신진 관리
-> 척준경이 인종에게 붙으며 난 진압

인종~ 승려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서경파(불교와 풍수지리, 자주 고구려 계승, 금나라 정벌): 묘청, 정지상
vs 개경파(유학, 신라 계승~사대주의, 금 사대): 김부식
-> 서경파가 밀리자 반란(1135)
-> 개경(현 수도 유지)파 승리(1136)

왕과 문신들의 부패:
무신~ 승진 차별, 하급 군인 임금 체불
->
무신정변의 뇌관이 터짐
김돈중(김부식의 아들, 문관)-> 무관 정중부의 수염 태움
한뢰(문신) -> 무관 이소응의 뺨을 때림
1170무신 정변
무신정변정치제도군사제도사회적 동요(반란)
이의방
정중부
중방문벌귀족: 김보당(개경), 조위총(서경)
양민: 망이, 망소이(공주명학소, 1176)
경대승
이의민
중방
(무신 회의 기구)
도방
X
백정(=농민): 김사미, 효심의 난(1193)
최충헌교정도감
(최고 권력기구)
도방
(사병)
만적의 난(개경, 1198):
천민 신분 해방 운동
최우교정도감+
정방(인사권)
서방(문신* 더 등용)
*향리 자제 -> 신진사대부
야별초
-> 삼별초

외세의 침입

요금: 거란(서양강) -> 여진(윤관),

고려
10~11C
거란(요)
호족

배경:
1) 고려: 고구려 계승 -> 북진 정책
2) 거란과 대립
3) 10C 후반 송: 5대 10국 통일
-> 고려-송 vs. 거란 균형

거란의 침공:
1차: 서희- 강동 6주 획득
2차: 고려~ 송과 친선 관계 유지,
양규- 강조의 변이 명분
3차: 강감찬- 귀주대첩

영향:
1) 초조대장경(부처님의 힘으로 거란 막자)
2) 개경(나성)
3) 고구려처럼 천리장성 축조
12C
여진(금)
문벌귀족

여진의 침공
1) 윤관~별무반:

신기군(기병), 신보(보병), 항마(승려)
-> 동북 9성
-> 수비 어려움, 여진 조공~ 여진에게 반환

2) 금: 요 X, 송 패퇴
-> 고려에 군신관계 요구:

이자겸, 김부식의 주장으로 금에 사대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실패)
13C
몽골
무신 정권
몽골의 침략(1231)
1) 공물 요구
2) 몽골 사신 살해가 명분
3) 강화 -> 최우: 강화도 천도

고려의 저항
1) 김윤후: 충주 처인성 전투
+ 부곡민 -> 몽골 장수 살리타 X
2) 충주성: 노비 군대
3) 배중손: 삼별초
(야별초~좌, 우별초+신의군)
(바다) 강화도 -> 진도 -> 제주도
-> 몽골 + 정부 연합군에 X

팔만대장경(부처님의 힘으로 몽골 막자)
원 간섭기
->

원 쇠퇴
권문세족
-> 몽골과 강화, 개경 환도
-> 원의 부마국

1) 내정간섭:
– 다루가치(총독)
– 정동행성(일본 정벌 -> 내정 간섭)
– 이문소(형법)
– 영토 축소~ 쌍성총관부,
동녕부(서경), 탐라총관부(제주)
*
– 관제개편: 2성 -> 첨의부, 6부-> 4사
– 중추원 -> 밀직사

2) 공물:
– 공녀(이를 막고자 조혼 늘어남)
– 금, 은, 인삼 등 특산물

3) 권문세족:
– 국정~ 도평의사사(도당)
– 관직~ 음서, 정방
– 경제~ 대농장

4) 교류
– 몽골풍 의복 등

공민왕의 개혁
1) 기철(기황후 가족) 등 권문세족 숙청
2) 내정간섭 기구 정동행성 X
3) 쌍성총관부(철령 이북) 무력 수복
*동녕부, 탐라총관부는 이전에 충렬왕 때
4) 고려 왕실 호칭, 관제 복구 + 몽골풍 X!
5) 정방 폐지, 국왕이 인사권
6) 신진 사대부 등용

그러나 노국공주의 사망,
심적-정치적 이유로 개혁 정지…
7) 대농장 -> 전민변정도감(승려 신돈):
왕권 향상과 재정 개선
14C
홍건적
왜구
홍건적 침입->
공민왕: 안동에 피신
이후 신돈, 공민왕 X, 개혁 실패

신흥무인세력 등장:
최영, 이성계
명 철령위 설치

우왕, 최영: 요동정벌 단행
vs. 이성계: 위화도 회군,
~ 4불가론(사대주의 이유 1개 포함)
과전법 시행

-> 1392 조선 건국

경제

수조권, 수취 제도
수조권(역 ->시개-> 경: 땅이 부족해짐)
공전= 국가에게 수조권
전시과~과전= 관리, 군인에게 수조권
전시과0) 역분전(태조):
개국공신~논공행상

전시과 체제: 수조권
(전지=농지, 시지=임야)
– 과전: 반납
– 공음전: 5품 이상, 세습 가능

1)시정 전시과(경종):
전현직에게 + 인품~사람 됨됨이 좋아!

2) 개정 전시과(목종)
전현직에게, 인품X

3) 경정 전시과(문종):
현직 관리만

-> 12C 이후 문벌 귀족 대농장
-> 무신 대농장 -> 붕괴
민전민전=귀족, 농민의 사유지
소유권 보장: 매매, 상속, 증여, 임대 가능
다만 수조권은 국가에게(~공전)
수취제양안(토지조사) + 호적(호구조사)
1) 조세(토지세) 2) 공납(특산물)
3) 역(요역, 군역):
정남=양인 신분의 16~59세 남성
4) 상세(상인), 어염세(어민)
토지세논, 밭 구분 + 비옥도 3등급
-> 수확량의 1/10
공물호 단위 부과
군역 = 군대 동원
요역= 토목 공사 동원
경제활동
농업1) 경작지 개간, 간척 사업~면세
2) 농번기에 잡역 X, 재해~감세
3) 농업 기술:
– 농업용 저수지
– 이앙법(모내기) 남부 일부 시행
– 시비법(똥 거름)
– 밭: 윤작법(2년 3작)
– 농상집요(원나라)
– 목화(문익점)
상업활동1) 시장:
– 시전~개경
– 관청: 경시서(상행위 관리감독 기구)
상평창(물가 조절)
– 관영 상점~ 개경, 서경, 동경 / 서적, 술, 약, 차

– 지방 시장: 농민, 사원, 수공업 물품 거래
-> 조운로~교역, 여관 ‘원’에서 거래
– 소금 전매제(국가 독점)

2) 무역:
– 벽란도(개성, 국제 무역항, 아라비아~COREA 고려)
~ 노걸대(고려시대 중국어 학습서)

3) 화폐:
– 건원중보(성종, 최초 철전)
–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
– 활구(은 호리병 모양, 유통은 지지부진)
수공업전기:
– 관영 수공업:
관청 소속 기술자~물품, 무기
– 소 수공업(공물):
금, 은, 종이, 먹 생산 -> 공물

후기:
– 민영 수공업:
농촌 가내수공업, 공물 매매
– 사원 수공업:
승려, 사원 노비~ 직물, 소금, 기와, 술
무역송: 벽란도 통해 교류
공무역 > 사무역
서적, 약재, 사치품 수입
금, 은, 인삼, 종이 등 수출

거란, 여진, 일본: 공무역
여진 사신이 공물로 은, 말, 모피
고려는 답례로 곡식, 농기구
일본 상인이 토산물로 수은, 유황
고려 왕이 답례로 인삼, 서적, 곡물

아라비아 상인: 향료, 상아 등
쌍화점 = 만두가

원 간섭기: 교역 활발
공무역 < 사무역
고려 사신이 예물
원에서 답례

사회

신분제

고려는 신분제 사회였다. 그래도 제한적인 신분 상승의 기회는 존재했다. 중류층과 양민은 과거에 급제하여 신분 상승을 꾀할 수 있었고, 군인도 전공을 세워 무관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외거 노비도 모은 재산을 주인에게 상납하고 양민이 될 수 있었다.

신분제계급세부세부 설명
지배층
국가 운영
귀족문벌 귀족
-> 무신
-> 권문세족
개경에서 대대로 고위 관직, 음서로 관직 독점
공음전, 과전, 녹봉 + 토지, 노비 물려받음
행정 실무중류층하급 관리
(토지 받음,
신분 세습)
잡류: 중앙 관청 실무 담당
남반: 궁중 실무 담당
군반: 하급 장교
향리: 지방 행정을 담당 ~호장-부호장
피지배층
생산 활동
양민백정=일반 농민
상민, 수공업자

향-부곡-소=
차별, 집단유배
백정:
1) 민전+소작지 경작
2) 조세, 공물, 역 부담
3) 과거 응시 가능

향-부곡(=농업)-소(=수공업):
1) 더한 세금,
2) 국자감 입학, 과거 응시 불가
3) 이주 제한
천민노비=재산
공, 사노비
1) 일천즉천=한 쪽 부모라도 천민이면 자식도 천민
2) 매매, 상속(어머니쪽 소유주), 증여 가능

공노비: 재산 소유 가능, 가정 가능
입역 노비= 관청 잡역으로 급료
외거 노비= 토지 경작 수입 납부

사노비: 개인, 사원 소유
솔거 노비= 주인집 거주, 잡일
외거 노비= 따로 살면서 신공(몸값) 바침
고려의 사회 복지 제도
구휼제도1) 흑창(태조) -> 의창(성종, 빈민구제~춘대추납)
2) 상평창(개경, 서경, 12목에 설치): 곡물 거래로 물가 조절
의료기구 1) 동서대비원= 개경, 환자 치료, 빈민 구제 병원
2) 혜민국= 개경, 고려 백성들을 위한 약국
3) 제위보= 광종, 조성한 기금의 이자로 빈민 구제와 질병 치료
3) 구제도감= 예종, 전염병 환자 구제 기관
4) 구급도감= 고종, 백성의 재난 구휼 위한 임시 관청

법과 규범

고려 사회
법률당률 (~당나라 한문, 국가 문제, 형법) < 관습법 (민사관계)

죄질에 따른 오형:
태=볼기 매질, 장=곤장, 도=징역, 유=유배,
사=사형(교수형, 참수형, 3심제)
반역, 불효도 중죄
의례토착신앙, 불교, 도교
정부: 유교 의례 시도 -> 실패
명절정월 초하루, 삼짇날(3.3), 단오, 유두, 추석
단오: 격구, 그네, 씨름

공동체

고려 사회
농민조직향도= 군현과 촌락 단위의 농민 공동체

전기: 매향(불교 신앙조직)
매향 활동+ 사찰, 불상, 석탑, 범종 제작 노동과 비용
~불교 중심으로 농촌 사회 통합
->
후기: 마을 공동 조직
활동 영역 넓힘: 마을 공동 노역, 혼례, 상장례, 마을 제사
가족제도소가족과 대가족

혼인: 일부일처제,
남자 20세 / 여자 18세 정도

왕실 결혼:
초기~친족 간 혼인
-> 중기~금지, 그러나 여전히
여성 지위가정 내 여성의 지위 상승
(사회 생활은 제한적,
그러나 가정, 경제활동에서는 거의 동등)

부모의 유산 균분상속
윤행봉사(딸, 아들 돌아가며 제사)
호적도 나이따라 기록, 여성도 호주 가능
사위가 처갓집 호적에 기록됨
외가(사위, 외손자)도 음서 가능, 양자는 X

일부일처제(첩 불가)
이혼, 재혼 가능
이혼 시 여성의 재산권 보장

문화

불교, 유교

호족문벌귀족
유학1) 유학 교육 기관 (성종)
중앙: 국자감*
(관료인재교육기관)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 서, 산학

– 지방: 향교
2) 최충 9재학당~과거 학원
-> 사학 12도 발달
성공적, 인맥(라인) 생김

-> 1) 관학(국자감) 진흥책:
전문 강좌 7재(예종)
장학재단 양현고
불교태조 왕건: 훈요 10조
-> 불교 연등회, 팔관회(도교) 중시

광종: 승과 실시, 승계
~국사, 왕사로 임명
~사찰에 토지 하사

성종: 최승로 <시무 28조>
불교 억제 주장, 팔관회 없어짐
의천(문종의 왕자): 천태종
교선통합, 교관겸수
(교종=법전 위주로 교종, 선종 통합)

교장 설치(팔만대장경)
풍수지리
(도교)
서경(평양) 길지설
도교 행사, 사원, 초제
-> 묘청 서경천도운동
남경(서울) 길지설
역사왕조실록:
– 구삼국사: 거란~ 소실
– 7대 실록(현종)~ 소실
(고구려 중심)
김부식: <삼국사기>(인종)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 역사서

기전체: 본기(왕)+세가(제후)
+열전(신하) 외
(신라중심)
(원=몽골의 침략) 무신(원 간섭기) 권문세족
유학유학 위축3) 안향: 성리학 소개(원, 충렬왕)
-> 신진사대부:
이제현-이색-정몽주-정도전
유교 생활~<소학>, <주자가례>

1) 국학 -> 성균관
신진사대부 양성
불교지눌: 조계종, 신앙결사운동
송광사~수선사 정혜 결사운동
선교통합 정혜쌍수 돈오점수
(선종=실 위주로 교종, 선종 통합)

혜심: 유불일치설
(유교와 불교는 통한다)

요세: 강진 만덕사~백련결사
권문세족과 결탁,
토지, 노비, 고리대
-> 비판의 대상
풍수지리남경길지설 계속 ->한양 (조선)
역사각훈: <해동고승전>: 고승 이야기
이규보: <동명왕편>: 고구려 계승
(민족의 저력 강조)
일연: <삼국유사>
(고조선~후삼국)


이승휴: <제왕운기>
중+ 한: 고조선~고려까지
담은 장편 서사시

이제현: <사략>
~성리학적 사관

과학기술

과학
천문학개성 첨성대: 궁궐터 만월대의 서쪽, 축대만 남음
사천대 -> 서운관: 천문 현상 관측 기관
<고려사>의 “천문지”: 천문 현상과 천체의 움직임

역법: 선명력(당나라의 역법) -> 수시력(원)
+ 독자적인 역법
의학혜민국, 대비원, 제위보 등:
왕족부터 백성까지 의료 혜택
태의감: 의학 교육, 의과(의관 선발)

향약구급방: 고려의 실정에 맞는 토종 의술 처방과 약재
(고려 고종 때 간행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서)
인쇄목판: 대량생산에 좋으나, 통째로 새겨 다양한 인쇄물 생산 불가
1) 초조대장경: 거란을 물리치려는 염원(현종~선종)
몽골군이 파괴 -> 교장도감 설치(의천) ->
2) 팔만대장경 (=재조대장경, 몽골을 물리치려는 염원)

활판(금속활자): 다양한 인쇄물의 소량 생산에 용이
1) 상정고금예문:
몽골 침입으로 현존 X
2) 직지심체요절:
현존 가장 오래된 활판인쇄물
이동: 청주(서원경) ->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
무기최무선 -> 화통도감 (1377, 화약, 화포 제작 관청) 설치
(금강 하류의) 진포에서 해전 최초로 화포 사용, 왜구 격퇴
조선술대형 범선, 대형 조운선, 병선

예술

고려는 불교적 색채가 강한 화려한 예술이 특징이다. 고려청자와 분청사기는 말할 것도 없고, 나전칠기도 이때 발달하였다.

시기전기-초기 / 중기후기
건축주심포 양식 유행
*기둥 위에만 공포가 있음.
*공포: 처마의 하중을 기둥과 벽으로 전달
배흘림기둥
*허리가 뚱뚱한 기둥, 안정적인 느낌
주심포 양식: 안동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 등

다포 양식* 유행: 성불사 응진전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
불상초기
– 철불 유행
하남 하사창동 철불
(철조석가여래좌상)
재료의 한계로 중단.

– 거대 불상 유행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모아이 석상이 연상됨, 17.8m)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 입상
(절벽 깎고 머리 올림)

/중기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아미타불)
(신라의 영향)
(립스틱…? 바르신 느낌)
*소조 불상은 점토를 구운 테라코타 +금칠
5층 탑, 7층 탑, 다각 다층탑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평창 월정사 8각 9층석탑
(다각형의 다층 석탑, 송의 영향)
*사각형에서 벗어남, 금동 머리장식

여주 고달사지 승탑
(팔각 원당형)
*거북이 받침대 위의 승탑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사각 승탑)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의 영향, 대리석)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음
도자기순청자 (11C)
*깔끔한 비취색, 무늬 없음
상감청자(12C) -> 분청사기 (조선 때 유행)
*상감: 무늬를 음각해 백토 등을 넣어 굽는 것.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등
*분청사기: 청자 흙에 백토를 발라 다른 색
공예은입사
(금속 표면에 선, 홈을 판 뒤
은 등의 다른 금속을 넣어
장식하는 기법)

나전 칠기:
옻칠한 바탕 위 자개 붙여 무늬
회화
서예
문인화, 산수화: 현존X

명필 유신, 탄연, 최우
필체: 왕희지체, 구양순체
공민왕: 천산대렵도
혜허: 수월관음도
*물방울 관음
음악장가(속요):
“청산별곡”, “쌍화점”
궁중음악 아악(현존)

향악: 우리 고유 음악
“동동”, “대동강”
문학향가+한문학
설화문학:
<국순전>, <국선생전>
수필문학:
이인로 <파한집>
최자 <보한집>
이제헌 <역옹패설>
신진사대부: 경기체가
<한림별곡>, <관동별곡>

티켓 조각(3/6)

△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창덕궁 금천교 난간’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NEXT: 조선